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재테크

비트코인 선물거래 보조지표 : MACD

많은 분들이 트렌드지표를 사용하시면서 겪고 있는 공통적인 문제점은 바로 ' 횡보장에서 대응을 할 수 없다는 점 '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전 세계 많은 트레이더분들이 사용하는 MACD 지표를 업그레이드된 버전을 사용하여 횡보장을 피해 갈 수 있는 매매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비트코인 선물거래

MACD지표는 이미 너무나도 유명하고 오래된 지표 중 하나로 알려져 있어 수많은 초보 트레이더분들 사이에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만약에 기존 MACD 보조지표보다 세 배 이상의 수익을 안겨다 줄 수 있는 새로운 버전의 MACD가 있다면 사용하시겠습니까?

그럼 새로운 MACD 보조지표가 어떻게 작동하고 사용해야 하는지 알려드리지 전에 기존의 MACD 지표에 대해서 짚고 넘어가 보겠습니다.

기존의 MACD 보조지표
기존 MACD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오리지널 MACD 지표에서는 MACD선과 시그널 선이 존재하고 이 두 선의 크로스오버에 따라 잠재적인 추세방향을 예측해 볼 수 있습니다.

 

파란색의 MACD선이 빨간색의 시그널선을 위로 돌파할 때 앞으로 추세가 상승할 것을 기대해 볼 수 있고 반대로 MACD선이 시그널선을 아래로 돌파할 때가 앞으로의 추세가 하락할 것으로 예측해 볼 수 있기 때문에 숏/매도 포지션에 진입해 볼 수 있습니다.

 

모든 시장 상황이 위의 예시처럼 흘러가준다면 상당히 좋겠지만 현실에서의 해당 전략은 추세장에서만 잘 적용되는 전략입니다. 다른 말로 횡보장에서는 여러분들의 시드를 갉아먹을 전략이라는 뜻입니다.

  • MACD 보조지표는 이렇게 횡보장에서는 최악의 전략이 될 수 있는 지표입니다.

MACD선이 시그널선을 위로 골든 크로스 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이 박스권 안에서 횡보하고 있다면 결국 해당 시그널이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매매가 반복되다 보면 여러분들이 추세장에서 버셨던 모든 수익금들을 뱉어내시게 될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제 여러분들에게 이렇게 횡보장을 필터일하면서 추세를 확인할 수 있는 새로운 MACD를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Impulse MACD

해당 지표는 기존 MACD 보조지표와는 크게 다르지 않지만 이 지표만의 유니크한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 가장 큰 차이점
    횡보장에서의 기존 MACD에서 보내는 잘못된 시그널들을 필터링해 준다.

새로운 macd 보조지표
새로운 MACD 보조지표

(해당 보조지표는 트레이딩뷰 사이트를 통해 사용이 가능합니다.)

지표검색에서 ' Impulse MACD라고 검색하시고 ' LazyBear '가 공유한 지표를 추가해 주시면 됩니다. 모습값은 다음 내용과 같이 번경하여 보기 편하게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MACD 모습값 변경
MACD 보는 방법

그럼 위의 사진과 같이 보다 정돈된 모습으로 해당 지표를 살펴보실 수가 있습니다. < Impulse MACD >는 총 4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파란색의 임펄스 MACD선, 빨간색의 시그널선, 하늘색의 히스토그램, 마지막으로 중앙선, 이렇게 4개를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사용방법

우선 기본적인 로직은 일반 MACD 보조지표와 동일합니다. 임펄스 MACD선이 시그널선을 위로 돌파할 때 상승추세관점, 아래로 돌파할 때 하락추세관점으로 해석을 해주시면 됩니다.

 

그런데 위의 사진 오른쪽 끝의 가운데 중앙선에서 평평하게 있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데, 이때가 바로 가격의 큰 움직임이 없이 횡보하고 있다는 걸 가리키고 있는 겁니다.

 

매매방법

우선 첫 번째 매매법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임펄스 MACD 과매수/과매도 전략

첫 번째로 여러분들이 하셔야 될 건 해당 지표에서 과매수, 그리고 과매도 구간을 가로선으로 표시해야 합니다. 이 구간에 진입했을 때가 우리가 포지션에 진입할 타이밍이 되는 건데, 과매수/과매도 구간에 진입했다는 건 앞으로 높은 확률로 중요한 가격 움직임이 나올 수 있다는 걸 예측해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상한 점이 있지 않나요? MACD는 트렌드 보조지표 중에 하나입니다. 즉 RSI나 스토캐스틱과 같이 0~100이라는 상대값 안에서 지표값이 정해지는 게 아닌 절댓값으로 계속해서 올라갈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즉, MACD는 0~100 사이에서 움직이는 지표가 아니라는 겁니다.


두 번째 매매법은 임펄스 MACD 돌파전략입니다. 돌파전략의 특징은 한 방향으로 갑자기 중요한 움직임이 발생하면서 로우리스크/하이리턴을 기대할 수 있는 전략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돌파패턴은 긴 시간 동안의 횡보기간 이후에 발생한 경우들이 많습니다. 그럼 임펄스 MACD 보조지표를 통해 어떤 돌파전략을 구사할 수 있을까요? 방법은 간단합니다.

 

위에서 해당 지표를 통해 횡보구간을 확인하는 방법이 있었습니다. 바로 임펄스 MACD선과 시그널선이 중앙선에서 수평으로 움직일 때입니다. ( 대신, 중아선에서 잠깐 머물면 안 되고 상대적으로 긴 시간을 머물러야 매매승률이 올라갑니다.)

 

이렇게 중앙선에 MACD선과 시그널선이 수평으로 횡보한 후에 히스토그램이 위로 출현한다면 롱/매수 포지션, 히스토그램이 아래로 출현한다면 숏/매도 포지션에 진입하시면 됩니다.

비트코인 단타 매매방법 중 MACD 보조지표

반응형